블레임 2017 세계관 분석
블레임은 오래 전에 잠깐 만화로 본 기억이 있습니다.
하지만 본 지 너무 오래 됐고 세계관도 복잡했던 터라 이해를 못해서,
거의 처음 보는 거나 마찬가지인데요.
일단 영화 블레임의 세계관부터 정리해보겠습니다.
오래 전 인류는, 스스로 도시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.
이 인류는 넷단말 유전자를 가진 인간으로,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해 도시에 있는 모든 걸 지배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능력을 지녔습니다.
(넷단말 유전자가 특별한 것처럼 보이지만, 아마도 현재의 우리 인류를 의미하는 듯합니다.)
그런데 이 인류가 무언가에 감염이 되어 넷단말 유전자를 잃어버리게 됩니다.
도시가 발전하면서 인류의 유전자가 변해버린 거죠.
이 때문에, 도시는 넷단말 유전자를 지니지 않은 인간을 배제해버리는데요. 즉 모든 인간을 죽인다는 겁니다.
인류가 자신의 편의를 위해 만든 인공지능이 도리어 인간을 죽이는, 인류가 멸망해 가는 세계인 겁니다.
게다가 인공지능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넷단말 유전자를 가진 인간이 보이지 않기에,
도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자꾸만 커져갑니다.
6천 층에서 올라왔다는 주인공 키리이를 두고, 마을 주민들은 그렇게 낮은 곳에서 올라 올 수 있을 리가 없다고 합니다.
6천 층이 낮다니, 규모가 상상이 안 갈 정도로 거대한 도시입니다.
애니 블레임에서는 세이프 가드라는 시스템이 넷단말 유전자를 지니지 않은 인간을 찾아내 배제시켜버립니다.
세이프 가드의 한 시스템인 위 사진의 구제계가 직접 인간을 사살하죠.
세이프 가드는, 넷단말 유전자가 없는 인류를 마치 바이러스를 박멸하듯 사살해버립니다.
처음 이 세이프 가드는 도시에 침투하는 다른 인류, 혹은 다른 존재를 사살하기 위해 만들어졌을 겁니다.
지키는 것을 넘어, 잔인하게 살인하는 것을 보면,
이 시스템을 만든 인간은 좀 무자비한 존재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.
혹은 어떤 위험한 존재를 막기 위해서였을 수도 있고요.
도시에 갇혀버린 인류는 세이프 가드를 피해 숨어 삽니다.
도시는 기계로 만들어졌기에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식량을 생산해낼 수 없습니다.
그렇기에 한 부족이 식량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
한 달치의 식량밖에 없기에, 이후에는 굶어 죽든지 세이프 가드와 싸우다가 죽든지의 선택만 남아 있는 상황이죠.
얼마나 절박한 것인지 식량을 구하러 나간 동료가 죽었는데도 애도는커녕 식량은 구해왔느냐고 묻고, 또 동료의 죽음은 금방 잊고 장비는 왜 안 챙겨왔느냐며 타박합니다.
죽은 동료보다 자신의 안위가 더 중요한 것인지...
그럴 때에 주인공 키리이가 나타납니다.
앞서 언급한 것처럼, 6천 층에서 올라왔죠.
키리이는 여러 대의 구제계를 한 방에 날려버리는 강력한 중력 사출장치라는 총을 지녔고,
먹지 않아도 되는데다가 말투도 로봇처럼 딱딱합니다.
하지만 키리이는 자신을 인간이라고 합니다.
키리이는 부족에게 자신의 목적은 넷단말 유전자를 가진 인간을 찾는 것이라고 말합니다.
그 인간을 찾아서 도시의 증식을 막든지, 아니면 도시를 장악해 전지전능한 힘을 얻으려는 걸 수도 있습니다.
아쉽게도 부족엔 넷단말 유전자를 가진 인간은 없습니다.
하지만 세이프 가드를 포함한 도시의 시스템을 모두 장악할 수 있는,
위조 단말을 만들 수 있다는 한 존재를 만납니다.
'영화 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꾼 영화 결말 스포 아쉽다 (0) | 2018.01.20 |
---|---|
희생부활자 결말 분석 (0) | 2017.10.29 |
교주전: 천공의 눈 예고편 후기 (0) | 2017.10.23 |
영화 겟아웃 스포 해석. (0) | 2017.10.22 |
아토믹 블론드 뜻으로 보는 권력 (0) | 2017.10.22 |